What Is 'Love Bombing'? (The New York Times, 10 Jan 2022)
과도한 애정 공세를 하는 나르시스트적인 파트너의 특징에 대해서 서술한 짤막한 글.
'Love Bombing'은 사전에 찾아보면 '애정 공세'라고 하는데, '애정 공세'라는 단어가 해석으로 그렇게 와닿지는 않는 것 같다.
https://www.nytimes.com/2022/01/10/style/love-bombing.html
What Is ‘Love Bombing’?
Grand romantic gestures in the early days of a relationship could be sweet — or a sign you’re dating a narcissist. Here’s how to tell the difference, according to experts.
www.nytimes.com
This is one analogy that Chitra Raghavan, a professor of psychology at John Jay College of Criminal Justice, used to explain how romantic behaviors can transform into a manipulative dating practice known as “love bombing”: lavishing a new romantic partner with grand gestures and constant contact in order to gain an upper hand in the relationship.
"과도한 애정 공세(Love Bombing)"란 상대방의 로맨틱한 행동이 나를 조종하는 것으로 변질되는 것을 말한다
: 매혹적인 새로운 파트너가 거창한 몸짓을 취하며 관계에서 우위에 점하려고 하는것
* gain an upper hand in the relationship :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다.
“One partner, typically male but not exclusively, showers the other person with attention, affection, compliments, flattery, and essentially creates this context where she feels like she’s met her soul mate and it’s effortless,” Dr. Raghavan said in a phone interview. “The reality is, the person who is doing the love bombing is creating or manipulating the environment to look like he’s the perfect or she’s the perfect mate.”
"한 사람의 파트너가,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대부분 남성이, 상대방에게 관심, 애정, 칭찬, 입발린 말들을 쏟아부으며 마치 소울메이트를 만난 것 같은 기분을 들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현실은, 이 사람이 상대방에게 애정 공세를 하며 자신을 완벽한 짝이라고 믿도록하는 조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입니다"
* showers : 쏟아붓다, 주다.
Excessive Attention and Flattery 과도한 관심과 입에 발린 말들
“If someone pays you attention and is generally present during the first date, that generally signals interest,” said Dr. Raghavan, who also specializes in domestic violence and sex trafficking. “But then there’s also someone that pays you interest in such a way that you’re consumed by it.”
"만약 누군가가 첫번째 데이트에서 주의를 기울인다면, 그건 일반적으로 관심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이 사람들은 당신에게 과도하게 집중하고 입에발린 말들을 해 당신을 사로잡는다"
* consumed by : 사로잡히다, 휩싸이다.
“you are my soul mate,” “I never met anyone I feel so close to” or “everything about you is what I wanted.”
"당신은 내 소울메이트 입니다"
"살면서 이렇게까지 가깝게 느껴지는 사람을 만나본 적이 없어요" 등과 같은 말들을 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It’s very exaggerated, histrionic, but could also be seen as deeply seductive and romantic, depending on what happens in between, what happens after,” Dr. Raghavan said.
"이것은 매우 연극적으로 과장되었고, 굉장히 유혹적이고 로맨틱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 histrionic : 연극성의
Isolation From Friends and Family 친구와 가족으로부터의 분리
It may seem sweet that your new mate wants to spend all of their time with you. But more often, it’s a red flag: The person may be a narcissist trying to isolate you from the other connections in your life as a way of exerting control.
새로운 파트너가 모든 시간을 당신과 함께 보내자고 하는 것은 좋은 의도일 수 있다.
하지만 대게의 경우, 위험 신호이다:
이 사람은 나르시스트적인 성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당신을 컨트롤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한다.
Controlling a person’s social life from the get-go may leave the person with nowhere to turn when a relationship sours.
한 사람의 소셜라이프의 처음부터 컨트롤하는 것은 이 사람이 자신과의 관계가 틀어졌을 때 기댈 사람이 아무도 없게 만드는 것이다.
*get-go: 시작, 처음
Over-the-Top Gifts 지나친 선물
“It’s part of the idea of excess and overwhelming the person so that they’re swept off their feet,” she said, adding that the “constant attention, flattery, seduction, gifts” make it hard “to process that you’re overwhelmed. And when you’re overwhelmed, you don’t see danger.”
"과도하게 그리고 압도적으로 이 사람을 놀라게 만들어서 사랑에 빠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에 더하여 "지속적인 관심과 입발린 말, 감언이설, 선물"등으로 상대방이 "압도되었다는 사실을 알기 어렵게 만드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압도당했을 때, 위험을 보기 어려우니까요.
*sweep off their feet: 사랑에 빠져들게 하다.
“It kind of reminds me a little bit of the Christian Grey stuff in that series, the chronic high-end gift giving,” she said, referring to the titular character in “Fifty Shades of Grey.” Because such characters abound in romantic media, she added, their behavior “becomes our equivalent idea of romance.”
"고급 선물을 계속 주는 것은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시리즈의 주인공인 크리스찬 그레이 캐릭터를 떠오르게 합니다. 왜이런 캐릭터들은 로맨스물에 아주 많이 등장하고, 이러한 행동들이 결국에는 로맨스와 동일화된다는 것입니다."
* abound in : 아주많은, 풍부한
“Generally speaking, the way we give affection to other people, the way we show them that we care about them, the way we try to support them, all of those things tend to robustly predict good outcomes,” Dr. Eastwick said in a phone interview. Love bombing, he said, likely represents a “small subset” of that behavior.
그렇지만 이러한 거창한 제스쳐들이 항상 위험한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애정을 주는 방식, 우리가 다른사람을 신경쓴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식, 우리가 다른 사람을 서포트하는 방식, 이 모든 것들이 분명하게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애정 공세는 그 행동의 "작은 부분"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Post-Love Bombed
Dr. Raghavan said that people who have been love bombed often feel as though they’ve lost their sense of self, which can take a long time to rebuild.
애정공세를 받은 사람들은 자아를 잃은 듯한 감정이 들었다고 말하며, 이러한 자아에 대한 감각은 다시 생기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You lose the sense of who you are because little things are being managed for you and these little things can be anything from how you dress to how you present yourself,”
"스스로가 누구인지에 대한 감각을 잃게 될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작은것까지도 관리되어왔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당신이 옷을 입는 방식에서부터 당신을 드러내는 방식까지 말입니다."
'글 읽기 > 기사&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CNBC make it] 절대로 같이 일하고 싶지 않은 리더의 유형 5가지 (3) | 2022.09.12 |
---|---|
[BBC Worklife] 친구의 정자를 기증받는 밀레니얼 세대 (5) | 2022.02.01 |
[BBC Worklife] 경력 없는 신입이 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지는 이유 (2) | 2021.09.25 |
[BBC Worklife] 직장에서의 가십이 당신에게 도움이 되는 이유 (2) | 2021.09.05 |
[가디언] 도쿄 2020 올림픽 태권도 동메달에 만족해야하는 비앙카 워크든 (0) | 2021.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