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전시

[스페이스K] 라이언 갠더 변화율(Rate of Change)

by HejG 2021. 8. 23.

 

Ryan Gander  - Rate of Change (라이언 갠더 - 변화율)

 

참여작가 : 라이언 갠더(Ryan Gander)
기간 : 2021년 6월 24일 ~ 2021년 9월 17일
장소 : 스페이스K 서울미술관
운영시간 : 화 - 일 10:00 - 18:00

 

코오롱의 문화예술 나눔공간 〈스페이스K 서울〉은 영국 출신 개념 미술가 ‘라이언 갠더(Ryan Gander)’의 개인전을 마련했습니다. ‘변화율(The Rates of Change)’이란 제목으로 개최되는 이번 전시는 ‘시간’으로부터 파생된 작가의 생각을 설치와 조각, 평면, 사진 등 다양한 매체로 풀어냅니다.

일상적 사물로 관객에게 예기치 못한 스토리텔링을 유도하는 라이언 갠더의 작품들은 진부한 맥락과 낡은 인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특히 이번 개인전에서는 작가의 주요 작품은 물론 야외에 설치되는 대형 조각을 함께 선보입니다. 기호와 관습은 물론 어떠한 형식에도 얽매이지 않으며 이해와 소통의 장을 펼쳐온 라이언 갠더의 예술 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출처: 스페이스K 홈페이지 전시 소개글)

 

 

개관한지 얼마안된 스페이스K 에서 진행되었던 라이언 갠더의 변화율 전을 보러 방문했다

코오롱 그룹에서 운영하는데 나는 스페이스K 때문에 마곡에 처음 와봤다

 

 

 

건물의 외부도 아름답지만 내부도 굉장히 깔끔하고 좋았다 (내부 카페에서 파는 커피도 맛있음)

이번 전시는 설치물, 조각, 평면, 사진 등 다양한 매체로 이루어진 28점의 작품으로 구성되었다. 

 

현존의 여파 또는 불법 거주자들 (고양이 삭스가 조각가 브루스 매클린의 <1번 좌대를 위한 포즈 작업(1971)>을 만났을 때), 2020

 

표를 구입하고 입장하니 따란 하고 고양이 한마리가 누워있다

허허 귀엽다 근데 작품의 제목을 봤더니 굉장히 길다. 

작품의 설명의 QR코드를 스캔하면 오디오 가이드를 들을 수 있는데 제목이 너무 특이해서 바로 들어봤다. 

 

이 고양이 이름은 '삭스(Socks)'라고 하는데,

작가는 브루스 매클린의 작품이 놓여있던 좌대 옆에 이렇게 고양이를 배치함으로써

흥미와 놀라움, 좌대를 단서로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상상적 공백을 관람객에게 준다고 한다 (오디오 가이드 설명) 

 

현존의 여파 또는 불법 거주자들 (고양이 삭스가 조각가 브루스 매클린의 <1번 좌대를 위한 포즈 작업(1971)>을 만났을 때), 2020

 

자세히 보면 숨쉬듯이 몸이 약간씩 들썩거리는 것을 볼 수 있다. 

털도 꽤 진짜 같아서 살아있는 것 같았다. 

 

젊은 작가에게(Letter to a young artist), 2019-2020

 

작가인 라이언 갠더가 8살 때 직접 작성한 편지.

뱃지를 78개나 모았고 우리 엄마 아빠는 36살이고, 형은 차가 잠긴채로 문을 닫았고 등등 일상적인 내용

 

따뜻하니 노곤하다, 또는 불법 거주자들 (고양이 스모키가 조각가 조나단 몽크의 <풀 죽은 조각2(2009)>를 만났을 때), 2020

 

또 다시 발견한 고양이

전시장 공간에 진짜 고양이들이 많다.

나는 고양이보다는 강아지를 더 좋아하지만,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정말 좋아할 듯 하다

 

따뜻하니 노곤하다, 또는 불법 거주자들 (고양이 스모키가 조각가 조나단 몽크의 <풀 죽은 조각 2(2009>를 만났을 때), 2020
제목 사이에 혼선 초래 또는 불법 거주자들 (고양이 타이거가 조각가 수잔 힐러의 <명료&직감: 거트루드 스타인에 대한 오마주(2011)>를 만났을 때), 2020

 

왠지 고양이들이 있을만한 공간이 아닌 전시장이란 공간을 점령하고 있는 모습이 굉장히 흥미로웠음

 

 

기록하기엔 너무 모호한 아이디어

 

어디 구석에 숨겨져있는 만원짜리 지폐.

라이언 갠더는 이렇게 의도적으로 숨겨진 화폐를 통해 '돈이 되는 예술'이 아니라 '예술이 된 돈'을 보여준다. 

 

 

어디서나 울려 퍼지는 우리의 메아리

 

이 작품은 라이언 갠더가 직접 디자인한 운동화로 신발의 밑 부분에 진흙이 잔뜩 묻어있다.

하얀색 운동화가 점점 더러워지는 것에 대한 발상의 전환으로 아예 처음부터 신발 디자인에 접목하여 저렇게 만들었다고 한다. 

 

 

스튜디오 창문 너머의 풍경(2017년 11월 8일), 2019

개인적으로 기억에 남았던 작품 

라이언 갠더의 작업실 창문을 재현한 작품으로, 컴퓨터 렌더링으로 만든 애니메이션 영상이 창문 뒤로 나타난다. 

현재 시각과 함께 재생되며 바깥 풍경에서의 햇빛, 달빛, 가로등 불빛, 나무의 그림자의 변화를 통해 놓치기 쉬운 일상의 모습을 그려낸다.

 

예전에 기숙사 살 때 내 방에는 통유리로 된 큰 창문이 있었다. 

어느 날에 날씨가 너무 좋아서 아주 오랫동안 바깥 풍경을 바라본 적이 있었는데,

나무, 강, 이층 버스가 지나다니던 다리를 바라보며 이제 졸업하면 이 예쁜 풍경을 볼 수 없을 것만 같아 약간 울적했던 기억이 난다. 

이 작품을 보며 그 날이 생각났다. 

일상의 작은 순간들을 온전하고 소중하게 느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던 작품. 

 

눈 내린 오후 뒤집힌 르 코르뷔지에 의자, 2017

 

똑바로 서있는 의자가 아니라 옆으로 뒤집어져있고 또 그 위에는 눈이 쌓인 모습을 통해

어떤 사건이 발생한 전후의 시간을 상상하게 만드는 작품

레진 대리석 등을 활용해서 만들었다고 한다.

 

 

난 다시는 뉴욕에 가지 않을거야

갤러리 벽면에 구멍이 뚫려져 있는데, 20파운드 짜리 지폐가 약간씩 움직이고 있다. 

라이언 갠더가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들었던 동화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든 작품이라고 한다.

 

한 여인이 주방에 뚫린 작은 구멍에서 돈이 삐져나와 이걸 계속 뽑아서 가져갔는데, 알고보니 쥐가 그 여인의 서류가방에서 돈을 빼서 

그 돈으로 뚫린 구멍에서 들어오는 바람을 막고 있었다는 것. 

여기서 쥐는 저 20파운드짜리 지폐를 보통 인간이 생각하는 화폐의 가치로 여기지 않고 단지 바람을 막을 부자재로 여겼다는 것. 

 

이 작품을 보려고 사람들이 쪼그려 앉아있는 모습이 재밌었다. 

 

어디서나 울려 퍼지는 우리의 메아리 (1969년 미시건주 디트로이트에서 전화로 상황을 설명하고 있는 프랜시스 데바 갠더), 2021

이 작품도 재밌었다.

사진 속의 인물은 갠더의 어머니 인데, 처음 봤을 때 당연히 핸드폰으로 전화를 받는 모습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작품 제목을 보니 1969년이다. 사실 전화를 받는 모습이 아니라, 코트 깃을 세우는 순간이였다고. 

 

갠더는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행위를 나타내는 손동작이 변화하는 모습에 주목하여 이 작품을 만들었다고 한다. 

 

자연적 기호와 관습적 기호 (다른 이들이 달을 바라보는 동안 기호를 그리는 누군가가 있었다), 2021

라이언 갠더는 기호는 자연적 기호(natural sign)와 관습적 기호(conventional sign)으로 나뉜다고 한다.

관습적 기호는 신호등이나 앰뷸런스 사이렌처럼 소통을 목적으로 하여 약속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반면,

자연적 기호는 바닥에 떨어진 티켓처럼 직접적인 소통 의도가 없는 우연적 기호를 의미한다고 한다. 

 

보통 '예술'은 작가의 의도를 담은 관습적 기호로 보지만, 라이언 갠더는 여기서 나아가

회화가 자연적 기호로 작동하는 순간을 실험하고자 하였다. 

 

왼쪽에는 데님 천 위에 달이 그려져있다. 달은 하나의 자연적 기호이지만, 달이라는 모티프는 많이 사용된 대표적인 클리셰이다.

따라서 자연적 기호이면서 동시에 관습적 기호인 것이다. 

 

 

2층에 올라오니 작가의 인터뷰 영상을 볼 수 있었는데 내용이 정말 정말 좋았다. 

사실 오디오 가이드보다 이 영상을 통해 작가의 의도와 생각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었다. 

 

Art should be for everyone, but it isn't for everyone. 

예술은 모두를 위한 것이여야 하지만, 실제로 모두를 위한 것이 아니다. 

 

작가는 예술의 엘리트주의가 싫다고 말하며,

예술 혹은 창의적인 행위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자연스럽게 나올 수밖에 없는 인간적인 반응이라고 말한다.

예를 들면, 집에서 요리를 하거나, 맥북에 스티커를 붙이는 행위, 블로그를 작성하는 것 등등 이 모두 창조 활동의 일부이다. 

결국, 우리 모두가 창의적인 결정을 하는 것이다. 

 

코로나로 변한 것에 대해 의견을 묻자, 

작가는 다른 나라의 문화적 관습, 바디랭귀지, 비언어어적 표현 등을 보고 관습적 기호를 관찰 할 수 있는 기회가 없어져 그런 점이 아쉽다고.

소스로 기록해두는 사진을 매년 5000장 정도 찍었는데, 올해는 500장밖에 찍지 못했다고 한다.  

 

또 작가는 단서와 같이 자연적 사인이 많이 등장하는 탐정 시리즈와 범죄 드라마를 좋아한다고 한다.

자연적 기호와 관습적 기호에 대한 것들이 작가의 모든 작품들의 뿌리가 되는 느낌. 

 

 

 

전시를 다 보고 밖으로 나와 옥상으로 이동. 

날씨가 정말 좋았다. 

 

우리의 긴 점선 (또는 37년 전)

 

작가가 집 근처 해변에서 주워온 자갈, 그리고 그 위에 둘러진 1950년대 손목시계를 구현한 조각 작품. 

여러 건물들을 뒤로 한 채로 묵직한 느낌을 준다. 

 

 

 

스페이스K 홈페이지

https://www.spacek.co.kr/index.do

 

Space K

ⓒ Kyungsub Shin Space K strives to focus on creativity of artists and present innovative and distinguished contents for the community. Current Exhibitions 진행중인 전시 --> Upcoming Exhibitions 예정 전시 00 00

www.spacek.co.kr

 

반응형